
TIL 챌린지 주제 선정

스터디 팀원으로 참여해 본 적은 많지만 주도적으로 운영해 본 적은 없던 것 같다.
이번에 멀티캠퍼스에서 스터디 이벤트를 열었는데, 대면 스터디가 대부분이었다. 비대면 학습을 진행하다보니 같은 반 수강생들과 교류할 기회가 부족해서 아쉬운 마음에 비대면 스터디를 열어보았다.
사실 운영해야 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는데, 고민 끝에 친분이 좀 생긴 비대면반 모임에 제안을 해보았다. 전부 참여하고 싶다고 해 주셨다! (정말 기뻤습니다🥹)
경기도민으로써 체력을 아낄 수 있도록 비대면으로 잘 진행 해 보려고 한다.

스터디 운영 기획
주제 선정
스터디 주제는 CS(Computer Science) 기본 지식으로 결정했다.
스터디 운영 방식

운영 방식에 대해서 고민이 많았는데, 문서를 편집하느라 무의미한 시간을 보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주제를 정하고 중요 키워드 위주로, 부족한 부분만 함께 정리해보는 방식을 제안했다.
- 매주 공통 주제 선정
- 관련 키워드 조사, 각자 내용 학습: tech-interview-for-developer 참고
- 스터디 전날까지 발생한 질문사항 공유
- 키워드와 질문사항에 대해 스터디 시간에 답변하고, 빠르게 정리
질문 확인 및 답변, 정리 -> 다음 주 주제 선정 -> 과제: 키워드 조사 및 학습, 질문 사항 공유
위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주제 선정 방식은 매주 다음 주제를 선정하도록 했지만, 틀이 될만한 주제들을 미리 정해두었다.
정리 방식은 두 가지를 제안했는데, Github Repository를 활용하는 것과, 노션의 공동 편집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다. 각각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1. GitHub Repository 활용
- Git/GitHub 사용을 연습할 기회
- Issue/Pull Request와 같은 기능을 사용해 볼 수 있음
2. Notion 공동편집
- 모두에게 익숙한 툴이기 때문에 정리 시간이 적게 소요됨
- 실시간으로 함께 편집 가능
이번 기회에 Git/GitHub를 익히고싶다는 의견이 많아서 Github Repository를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스터디 레파지토리이기 때문에 실수해도 걱정 없다.
CS 스터디 레파지토리 운영 방식들
Github에 CS 스터디
로 검색하여 다른 스터디 레파지토리의 운영 방식을 참고해 보았다.

README.md
에 스터디 규칙을 작성한다.- Issue에 주제를 올리고, Comment로 각자 질문을 달아 둔다.
- 주제별 디렉토리를 만들고 Markdown 형식으로 정리한다.
[경로]/README.md
에 작성하면 Github 웹 뷰에서 보기 편하다. - 같은 주제에서 각자 이름으로 파일을 만들어 내용을 정리하거나, 한 주제를 여러 파트로 나눠서 각자 정리한다.
기대 효과 및 앞으로의 계획
이번 CS 스터디는 아래와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다.
- 체계적인 CS 지식 습득: 단순 암기가 아닌 이해 중심의 학습
- 협업 도구 숙련도 향상: Git/GitHub 활용 능력 개발
- 질문하는 습관 형성: 모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질문하는 문화 조성
- 지식 공유와 토론: 각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내용을 공유하며 더 깊이 있게 이해

이번 주 스터디는 목요일에 예정되어 있다. 스터디 Repository에 첫 주 Issue 등록을 완료하고, 키워드 및 질문 작성 가이드를 남겨 두었다.
첫 스터디 시간 전 까지 간략한 스터디 소개와 규칙을 작성하고, 첫 시간에는 fork
하여 pull request
하는 법 등에 대해 정리하여 공유하려고 한다.
또, 아직 내용 정리에 대해서는 돌아가며 한 사람이 할 지, 매 주 여러 사람이 할지, 각자 파트를 정리할 지... 갈피를 잡지 못했는데 첫 시간을 진행해 본 뒤 편집 방식을 결정하려고 한다.
나아가서 CS 주제 이외에도, 새로 스터디 하고 싶은 내용이 생긴다면 다른 주제로, 다른 팀원을 모집하여 진행해보고 싶기도 하다.